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점검표254

FRC 적재작업 점검표 1. FRC(Flat Rack Container)란? 지붕과 측벽을 제거하고 좌우측 단벽만 가진 형태로 비규격의 큰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2. 관련법규 선박안전법 제23조(컨테이너 형식승인 및 검정 등) 선박안전법 제24조(컨테이너의 안전점검)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안전조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0조(출입의 금지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9조(작업지휘자 지정) 3. 주요 재해발생 요인 FRC Frame Folding시 끼임 라싱, 쇼링작업 중 추락 지게차 사용 시 부딪힘 4. 점검표 2022. 5. 22.
프레스 안전점검표 1. 프레스 주요 유해ㆍ위험 요인 프레스 안전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작업 중 끼임 풋스위치를 사용해 양손으로 소재를 투입하고 꺼내는 작업 중 금형 사이에 끼임 금형 설치 및 해체 작업 중 금형에 끼임 소재가 금형에 제대로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레스 가공 중 파손된 금형파편에 맞음 금형 조정작업 중 금형 파손으로 파편에 맞음 소재, 금형 등 중량물 운반작업 중 장해물에 걸려 넘어짐 2인이 공동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하강하는 슬라이드에 부딪힘 2. 프레스 방호장치의 종류 방호장치 종류 내 용 가드식 방호장치 가드의 개폐를 이용한 방호장치로서 기계의작동을 서로 연동하여 가드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는 기계의 위험부분이 가동되지 않고, 또한 기계가 작동하여 위험한 상태로 있을 때에는 가드를열 수 없게 한 장치 손쳐.. 2022. 5. 20.
전기기계기구 취급작업 점검표 전기기계기구작업 점검표 사업장 점검일 점검자 NO 점검항목 양호 불량 조치사항 1 작업 전로 차단, 잠금장치 및 꼬리표 부착하고 검전기를 이용하여 충전여부를 확인하였는가? 2 전기기구 취급작업 시 전기설비로부터 폭 70cm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있는가? 3 감전위험이 있는 전기기계·기구 또는 전로의 설치·해체·정비·점검(설비의 유효성을 장비, 도구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점검)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에 유자격자가 작업을 수행하는가? 4 전기기계·기구 및 설비의 전원 접속부인 충전부가 노출되어 있지 않는가? 5 전기기계·기구 및 설비의 금속재, 철재 등의 외함에 접지시설이 되어 있는가? 6 휴대형 또는 이동형 전동기계의 전원에 누전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가? 7 전기기기 외함에 접지된 접지선이 접지극과 직접.. 2022. 4. 15.
지게차 자율안전 점검표 지게차 자율안전 점검표 점검일 점검자 1. 사업장 개요 사업장명 업종 소재지 근로자수 담당자 성 명: 연락처: 2. 점검표 점검내용 점검결과 자격 등에 의한 취업 제한 등(산업안전보건법 제140조) - 지게차 면허 소지 및 관련 교육 이수 여부 안전조치(안전보건규칙 제38조, 제176조, 제179~183조) - 차량계 하역운반 작업으로 작업계획서 작성 여부 (작업시 재해예방 대책, 운행경로, 작업방법 등) - 수리 등의 작업 시 작업순서 결정 및 작업지휘자 지정 여부 - 전조등, 후미등, 헤드가드, 백레스트 등의 설치 여부 - 후진경보기, 경광등 또는 후방감지기 설치 여부 - 지게차 운전시 근로자의 좌석안전띠 착용 여부 기타사항 2022. 4. 14.
산업용 리프트 안전작업 점검표 산업용 리프트 안전작업 점검표 점검일 점검자 구 분 점검항목 점검결과 양호 불량 조치 공통 점검사항 조작스위치는 운반구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운반구에 작업자 탑승 금지조치가 이뤄지고 있는가? 비상정지스위치는 돌출형(적색) 구조로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고 정상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가? 버튼의 운전스위치는 권상, 권하의 표시와 운반구의 상하작동이 일치하는가? 운반구 외부에 부착된 리미트 스위치는 변형 등이 없이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는가? 고정볼트 등이 확실히 고정되고 풀림, 변형은 없는가? 적재하중이 0.5톤 이상인 리프트의 안전검사는 2년마다 정기적으로 받는가? 끼임 재해예방 건물 각 층의 승강로 주위에 방호울(높이 1.8m이상)이 설치되어 있으며, 변형·손상 등이 없는가? 화물반입구에 출입문이 설치되어.. 2022. 4. 12.
끼임재해예방 자율점검표 끼임예방 자율점검표 사업장 점검일 점검자 No 점검항목 점검결과 양호 불량 조치사항 1 현장에서 사용하는 위험기계에 적합한 방호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안전인증·안전검사 대상인 경우 관련 인증·검사를 받고 사용하고 있는가? 2 안전인증·안전검사를 받을 당시의 방호조치 기능이 잘 유지되고 있는가? 3 기계·기구 또는 설비에 설치한 방호장치를 임의 해체하거나 기능을 해제한 상태로 사용하지 않는가? 4 끼임 위험이 있는 원동기, 회전축, 기어 및 체인 등에 대한 방지조치(덮개, 울 등 설치)는 적정한가? 5 동력으로 작동되는 기계에 스위치, 클러치, 벨트이동장치 등 동력차단장치를 설치하였는가? 6 사용 중인 기계·기구 또는 설비에 대한 정비 작업 시 운전정지 등의 조치절차를 수립·시행하고 있는가? [대상작업].. 2022. 4. 11.
소규모 플랜트 공사 점검표 소규모 플랜트공사 점검표 사업장 점검일 점검자 NO 점검항목 양호 불량 조치사항 1 부대조성공사 파일 항타 중 해머셋트 낙하로 인한 맞음 위험은 없는가? 2 굴착작업 시 토사의 무너짐, 굴착사면의 무너짐 위험은 없는가? 3 굴착작업 시 매설된 가스관, 전기케이블관, 수도관, 송류관 등의 파손위험은 없는가? 4 굴착작업 시 인근 건축물의 변형이나 무너짐 위험은 없는가? 5 굴착작업 시 굴착면에서 부석 또는 자재 등에 의한 맞음 위험은 없는가? 6 굴착작업 시 굴착장비의 이동으로 부딪힘 위험은 없는가? 7 발파 후 암반의 비산에 따른 맞음 위험은 없는가? 8 발파 후 트렌치 굴착공사 중 토사의 무너짐 위험은 없는가? 9 발파 후 굴착장비의 이동으로 부딪힘 위험은 없는가? 10 비계 설치 중 실족에 따른 떨어.. 2022. 4. 10.
타카작업 점검표 타카작업 점검표 사업장 점검일 점검자 NO 점검항목 양호 불량 조치사항 1 타카건 및 공기압축기 반입 시 위험성평가(공구 및 부속기기의 안전검사, 작업계획서 등)를 하였는가? 2 타카건 사용 근로자에 대한 작업 전 교육을 실시하였는가? (사용 시 신체부위로 향하지 않고 이동시에는 잠금장치 실시 등) 3 공구 운반은 운반하기 용이하며 안전한 손수레를 이용하는가? 4 운반경로는 충분한 폭, 견고한 지반상태를 유지하고 있는가? 5 작업 전 안전보호구(안전모, 보안경, 안전장갑 ,안전화)를 착용하였는가? 6 타카건의 안전장치는 정상작동 하는지 점검하였는가?(2중 방아쇠 안전장치 등) 7 공기압축기의 안전벨브의 작동상태는 점검하였는가? (과충압 시 자동배출벨브) 8 불안전한 말비계, 사다리 또는 이동식비계는 사용.. 2022. 4. 9.
소규모 건축공사 점검표 소규모 건축공사 점검표 사업장 점검일 점검자 NO 점검항목 양호 불량 조치사항 1 공사구역 내 산재되어 있는 지하매설물에 대해서는 지하매설물 대장 및 도면에 표시된 위치를 조사하지 못하여 파열, 폭발위험은 없는가? 2 토공사 시 지질 및 지층상태 지반 특성상 지반이완과 무너짐 위험은 없는가? 3 토공사 시 사면 또는 흙막이 지보공 공사 시 무너짐 위험은 없는가? 4 토공사 시 굴착공사로 인한 인접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가? 5 토공사 시 배수관리 미흡에 따른 감전, 장비 뒤집힘 등 위험은 없는가? 6 토공사 시 토사 및 암반의 낙하로 인한 맞음 위험은 없는가? 7 토공사 시 토사운반경로의 불완전에 따른 건설기계 뒤집힘 위험은 없는가? 8 토공사 시 건설기계 신호수 및 유도자 미배치에 따른 장비와 근로.. 2022. 4. 8.
비계공사 작업 점검표 비계공사 작업 점검표 사업장 점검일 점검자 NO 점검항목 양호 불량 조치사항 1 비계공사 작업의 작업계획서는 작성하였는가? 작업계획에는 비계구조의 도면 및 구조계산서(필요한 경우에 한함), 자재의 반입경로, 작업방법 및 순서, 투입되는 기계기구, 안전담당자, 투입예정 근로자 등을 포함하고 있는가? 2 높이 31m 이상의 비계, 동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가설구조물 등 비계구조의 안전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는 경우 구조계산 결과 안전함을 확인하였는가? 3 자재를 반입·조립하기 위하여 지게차, 기중기 등을 사용한다면 해당 기계기구에 대한 위험성평가(장비 및 부속설비의 안전검사, 운전원, 보험가입, 작업계획서 등)를 하였는가? 4 비계 자재의 하역 및 조립작업에 투입된 근로자는 건설업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하였는가.. 2022. 4. 7.